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에 대한 사전입니다.
Q. 열탈진 (熱脫盡 , heat collapse)
열탈진 (熱脫盡 , heat collapse)
: 고온환경에 오랫동안 폭로된 결과로 말초혈관운동신경의 조절장애와 심박출량의 부족으로 초래되는 순환부전 ( circulatory failure ) , 특히 대뇌피질의 혈류량부족이 주원인이며 , 피부혈관의 확장 및 탈수상태가 일어나고 전해질장애까지 일어난다. 열실신 ( heat syncope ) , 열피로 ( heat exhaustion )라고도 하며 , 고온작업장에서 중노동에 종사하는 자 , 특히 미숙련공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 중근작업을 적어도 2시간 이상 하였을 때에 발생한다. 고온다습한 환경에 오랫동안 서 있거나 , 별안간 자세를 바꾸거나 , 익숙하지 않은 일 , 특히 허리를 굽히거나 , 무거운 물체를 드는 작업을 할 때 현기증을 느끼고 실신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계속되면 열사병으로 진행되어 생명을 잃게 되기도 한다. 전구증상으로 전신의 권태감 , 탈력감을 느끼며 두통 , 현기증 , 귀울림 , 구역질을 호소하다가 의식이 흐려지고 완전히 탈진 ( collapse ) 상태에 빠져 의식을 잃는다. 임상소견으로는 최저혈압의 하강이 현저하다.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휴식시키고 탈수가 심하면 5% 포도당용액을 정맥주사한다. 더운 커피를 마시게 하거나 때로는 강심제를 써야 할 경우도 있다. 며칠 동안 순환기계통의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순환기계 질환이 합병하거나 병존하지 않는 한 예후는 양호하며 완전히 회복된다.
Q. 열팽창용 안전밸브
열팽창용 안전밸브
: JKTR-3F 온도조절 밸브 ( Pilot Acting Type )
특징 대용량의 파일롯트식 온도 조절 밸브로서 직동식에 비하여 용량이 크며 밸브전후의 차압이 많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형 저장 탱크의 온도제어에 적합하며 급탕탱크나 열교환기 등에 주로 사용합니다.
파일롯트식으로 되어있어 대용량이므로 적용범위가 넓습니다.
밸브전후의 차입이 많은 곳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온도조절범위를 20 ℃로 구분제작하며 온도편차가 매우 적습니다.
전기등 보조동력을 필요로 하지않아 설치가 매우 간단합니다.
연결동관은 플렉시블 튜브를 씌워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 하였습니다.
Q. 열평형방정식 (熱平衡方程式, equation of heat equilibrium)
열평형방정식 (熱平衡方程式, equation of heat equilibrium)
: 산업현장에서 열로 인한 문제는 기온 , 기류 , 기습 및 복사열의 4가지 요인의 종합작용 때문에 일어나며 , 체열생산 ( 體熱生産 )과 체열방산 ( 體熱放散 )의 사이의 평형상태 유지 여부에 따라 불쾌하거나 유해한 작업환경이 조성된다. 생체와 환경 사이의 열교환은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열역학 ( 熱力學 )적 관계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ΔS = M - E ± R ± C
여기에서 ΔS는 생체열용량의 변화 , M은 섭취한 음식물의 대사과정을 통한 화학적 반응에 의한 체열생산량 , E는 주로 피부를 통한 증발에 의한 체열방산량 , R은 복사에 의한 열의 득실 ( 得失 ) , C는 대류에 의한 열의 득실이다. 체열생산과 방산이 평형을 이룬 상태 , 즉 생체열용량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열이 평형을 이룬 상태라 하고 이것을 방정식으로 나타낸 것이 열평형방정식으로 다음과 같다.
M = E ± R ± C
이러한 상태에서는 생체 내에서 대사로 말미암아 생성된 열은 모두 방산되는 셈이고 ΔS = 0이 된다. 항온동물은 체내에서 열을 생산하는 화학적 조절기능과 외부로 체열을 방출하는 이학적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 기능이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적절히 균형을 이룸으로써 일정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Q. 열경화성 수지 (thermosetting resin)
열경화성 수지 (thermosetting resin)
: 열경화성 수지는 성형 , 가공 공정 중 가열하게 될 때 화학반응이 수반되고 이 화학반응의 결과로 가교결합 ( crosslinking )이 일어나 불용 , 불융의 상태가 되어 고화되는 수지를 말한다. 열경화성 수지의 분자 사슬은 가교결합으로 상호 연결되어있고 , 경화시 가교결합을 하기 때문에 경화 후 용융 될 수 없다. 또한 연마가공이 가능하고 , 단단하며 고온에 잘 견딘다. 그리고 긴 성형공정 시간을 필요로 한다. 대표적인 예는 페놀 , 요소 , 멜라민 , 에폭시 PU수지 , UPE수지등이 있으며 가공 전 저분자량의 올리고머 상태에서 가공 후 가교구조상태로 변화된다. 내열성 , 내약품성이 뛰어나 제품으로서의 장점이 많고 , 대량생산공정이 개발되면서 점차 그 활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Q. 열대류 (熱對流 , thermal convection)
열대류 (熱對流 , thermal convection)
: 열에 의한 대류현상으로 여름철에 태양이 강하게 내리쬐고 지표면이 열을 받으면 , 지표면 가까이에 있는 공기가 가열 상승해서 대류현상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공기덩어리의 상승은 기포와 같은 모양이 되므로 공기포 ( 空氣泡 )라고도 한다. 열대류에 의해서 적운 ( 積雲 )이나 적란운 ( 積亂雲 )이 생기는데 , 그 구름 속에는 많은 공기포가 있어 그것이 상승운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열대류를 교묘히 이용하고 있는 새로는 솔개나 수리 등이 있다. 이런 새들이 공중에 원을 그리면서 날개를 치지 않고도 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또 글라이더가 활공할 때 열대류를 이용하여 장시간 비행하기도 한다. 열대류는 지표면의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 사지 ( 砂地 )·나지 ( 裸地 )·도시 등에서는 상승기류가 발달하며 , 삼림·호수 등에서는 하강기류가 되기 쉽다.
Q. 열사병 (熱射病 , heat stroke)
열사병 (熱射病 , heat stroke)
: 열사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될 때 체온조절장해를 일으켜서 생기는 위급한 상태이며 , 태양광선에 의한 열사병은 일사병 ( sunstroke )이라 하고 , 전형적 ( classic ) 또는 과로 ( exertional ) 형태의 2가지 형태로 발생한다. 전자는 고열조건하에서 체온발산이 잘 안되는 사람들 ( 고령자 , 영아 , 만성질환자 , 몸이 쇠약한 환자 )에게서 발생하고 후자는 열순응이 되지 않은 사람이 고열환경에서 과도한 육체노동을 하는 경우에 생긴다. 통상적으로 갑자기 발병하는 체온조절 기능장해로서 중추신경계의 장해 , 전신적인 발한정지 , 40℃ 이상의 직장온도 ( 直腸溫度 ) 상승 등 3가지 증상이 특징이다. 고온다습한 환경 조건에서 격심한 육체 노동을 하거나 옥외에서 태양의 복사열을 두부에 직접적으로 받는 경우에 발생한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격심한 육체적 노동을 하면 발한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할 체열방출이 장해됨으로써 체내에 열이 촉발된다. 그 결과 뇌막혈관은 충혈되고 두부가 태양 직사광에 노출됨에 따라 뇌의 온도가 상승하여 체온조절중추의 기능 , 특히 발한기전이 장애를 받거나 손상된다.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장애는 체열방출의 장해를 더 악화시키고 악화된 체열방출은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장애를 가속시키는 악순환을 일으킴으로써 급격히 진행된다. 가장 특이한 소견은 땀을 흘리지 못하여 체열방산을 하지 못하므로 체온이 41~43℃까지 급격하게 상승되어 혼수상태에 이르게 되며 또한 피부가 건조하게 된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100% 사망하며 , 치료를 하는 경우에도 체온이 43℃ 이상인 때에는 약 80% , 43℃ 이하인 때에는 약 40%의 높은 치명률 ( fatality rate )을 보인다. 혼수가 계속되면 예후는 불량하며 체온조절중추의 손상이 있을 때에는 치료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체온을 급히 하강시키기 위한 응급조치방법으로 얼음물에 담가서 체온을 39℃까지 내려 주어야 한다. 이같은 조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찬물로 닦으면서 선풍기를 사용하여 증발냉각이라도 시도하여야 한다. 한편 울혈방지와 체열이동을 돕기 위하여 사지를 격렬하게 마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호흡곤란 시에는 산소를 공급해 주고 체열의 생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항신진대사제 ( 抗新陣代謝劑 )를 투여한다.
Q. 열동형 계전기 (熱動形 繼電器, thermal relay)
열동형 계전기 (熱動形 繼電器, thermal relay)
: 주로 전동기의 부하전류 , 기동전류를 열에너지로서 축적하고 , 반한시특성을 가져 접점을 개방작동을 하는 기능을 가진 계전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와 조합하여 전자개폐기로 사용한다. 정지형이나 유도형의 과부하계전기에 비해서 열동형은 열의 축적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전동기의 반복기동 ( 간헐운전 등 )에 의한 소손의 방지에 유리하다. thermal relay ,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 3상 유도전동기용 열동형 보호계전기 등이 있다.
Q. 열매체 (熱媒體 , heating medium)
열매체 (熱媒體 , heating medium)
: 열원에서 전열매체로 전하고 , 이것을 순환시켜서 피가열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방식은 , 직접가열법에 비해서 국부가열을 피할 수 있고 , 온도조절이 용이하며 ,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도 적어서 공업적으로 널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열매체는 연도 ( 煙道 )가스 ·가열공기 ·물 ·수증기 ·기름 등이다. 물은 비열 , 증발열이 크고 안정되어 있는 등 , 뛰어난 성질이 있으나 , 증기압이 높고 , 100 ℃ 이상의 가열에는 가압상태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며 , 약 200 ℃가 한도이다. 화학공업의 발달에 따라 높은 온도가 요구되며 , 디페닐과 디페닐에테르의 공융혼합물이 1931년 다우삼 A로서 발매된 이래 , 각종 유기전열매체가 연구 , 개발되어 여러 가지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고온전열매체는 , 끊는점이 높고 증기압이 낮으며 , 열안정성과 장치재료에 대한 부식성이 적고 , 유동성이 있고 비열 , 증발열이 크며 불연성이어야 한다. 유기전열매체는 열의 안전성의 면에서 볼때 , 최고 사용한도는 약 약 400 ℃이고 , 그 이상의 고온에는 수은 ·용융금속 · HTS ( 질산염과 아질산염의 공융혼합물 ) 등의 무기전열매체가 사용된다.
Q. 연천인율 (年千人率)
연천인율 (年千人率)
: 산업재해의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로서 , 취업하는 근로자수를 주체로 한 표시방식이다. 연천인율은 근로자 1 , 000명당 1년간 발생한 재해자수를 나타낸 것으로 ( 재해자수/평균근로자수 )×1 , 000이다. 연천인율은 산출이 용이하고 알기 쉬운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 재해발생빈도에 근로시간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 때문에 그다지 정확한 방식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국제적으로는 도수율을 더 많이 사용한다.
Q. 연소점 (燃燒點 , burning point)
연소점 (燃燒點 , burning point)
: 어떤 인화성 액체가 공기중에서 열을 받아 점화원의 존재하에 지속적인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온도이다. 인화점보다 약 3-10 ℃ 정도 높으며 연소를 5초 이상 지속할 수 있는 온도이다.
Q. 연소파 (燃燒坡 , combustion wave)
연소파 (燃燒坡 , combustion wave)
: 주로 예혼합연소 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서 가연성가스와 지연성 가스가 일정 농도로 혼합된 가스가 발화원에서 발생한 화염이 혼합가스 중을 옮겨 진행하여 생기는 현상으로서 화염전파가 파동을 치며 전파되는 현상이다. 이 때 미연소혼합가스에 대한 화염의 진행속도를 연소속도라고 한다.
Q. 연속공정 (連續工程)
연속공정 (連續工程)
: 동일한 생산단계를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같은 종류의 제품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공정. 소량의 제품을 대량생산하기에 적합한 공정을 말한다. 장점으로는 생산효율이 높고 , 공정관리가 간단하다. 단점으로는 초기투자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종업원의 직무만족이 떨어진다.
Q. 연속교반 탱크반응기 (CSTR)
연속교반 탱크반응기 (CSTR)
: 강한 교반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 CSTR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 여러개의 CSTR이 연결된 것 중의 일부분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CSTR은 비교적 온도 조절이 용이하나 반응기 부피당 반응물의 전화율은 흐름반응기들 중에서 가장 작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높은 전화율을 얻기 위해서는 대단히 큰 반응기가 필요하게 된다.
Q. 연속누출 (連續漏出)
연속누출 (連續漏出)
: 연속누출 ( continuous grade of release ) 이라 함은 연속적 또는 장기간 발생할 수 있는 누출을 말한다. 연속누출원으로 ① 연속적으로 가스 등을 누출시키는 고정 지붕형 저장조 ( fixed rooftank ) 내부의 인화성 액체 표면② 연속적 또는 장기간 대기 중에 개방되어 있는 가연성 액체의 표면이 있다.
Q. 연동선 (然洞線 , annealed copper wire)
연동선 (然洞線 , annealed copper wire)
: 상온에서 가공한 동선을 약 600℃의 가열로 속에서 서서히 식혀서 만든 것을 말한다. 표준연동의 체적저항률은 20℃에 있어서 1/58Ω㎟/m이다.